본문 바로가기
기타

Linux OD(Octal Dump)Command

by 김태홍 2014. 9. 30.

OD(Octal Dump)는 바이너리 파일을 8진수로 덤프해서 출력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.


od 파일 명령어 사용 방법 :


 Usage : od [OPTION] .... [FILE] ....


아래의 그림은  a.out 파일을 8진수로 표현한 것 으로 빨간색 박스 안 내용은 파일의 시작으로부터의 오프셋을 8진수로 표현 한 것 이고

노란 박스부분은 파일 내용을 2바이트씩 8개로 각각 2바이트씩(short), 총 16바이트를 출력 해주고 있다.









보편적으로 8진수로 출력을 한 경우에 이해하기가 어렵다. 그래서 보통 바이트 단위로(1byte=8bit) 16진수로 표시되는게 알기 쉽다.

전체적인 od명령어의 help를 확인 하고 싶으면 다음 명령어를 이용하여 볼 수 있으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간략하만 알아보도록하자.


 Usage : od --help

             man od


그럼 다시 본내용으로 돌아가서 출력형식에 관해 살펴 보자. od 명령어는 출력 형식을 -t 옵션(--format=TYPE)으로 주어서 정할 수 있다. 


 Usage : od -t x[크기]


x - 16진수, 뒤에 지정한 바이트수 또는 다음과 같은 크기 지정자를 정하여 사용 할 수 있다.

· C - char

· S - short

· I - int

· L - Long

그 다음 으로 오프셋 출력 형식 역시 -A 옵션(--address-radix=RADIX)으로 주어서 정할 수 있다.

만약에 오프셋을 표시 하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-A 다음에 n 으로 옵션을 주면 된다.

또한 z 옵션을 주게 되면 오른쪽에 아스키 문자역시 출력을 해준다.



























이번 포스팅 때 사용한 명령어는 아래와 같습니다.


[root@WebServer C]# od -A n a.out | head -5

a.out 파일의 오프셋을 출력하지 않고 보여준다.

[root@WebServer C]# od -t x1 -A x a.out | head -5

a.out 파일의 오프셋을 16진수로 보여주고 파일 내용도 1바이트씩 16진수로 보여준다.

[root@WebServer C]# od -t x2 -A n a.out | head -5

a.out 파일의 오프셋을 16진수로 보여주고 파일 내용도 2바이트씩 16진수로 보여준다.
[root@WebServer C]# od -t x4 -A n a.out | head -5
a.out 파일의 오프셋을 16진수로 보여주고 파일 내용도 4바이트씩 16진수로 보여준다.
[root@WebServer C]# od -t x4z -A n a.out | head -5
a.out 파일의 오프셋을 16진수로 보여주고 파일 내용도 4바이트씩 16진수로 보여주며
아스키 코드 역시 보여준다.


댓글